-[태학사전]을 보면서 태학본문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본문의 파란 글자는 [가나다순]에 연결됩니다(기본연결). -원문의 節번호는 [본문순]에 연결됩니다. -[번역문] 난의 번호에는 [토 달린 원문]이 걸려 있습니다. |
|
번역문 |
|
經←[본문순]열기 |
|
태학의 道는 |
|
在新民 在止於至善 |
明德을 밝히는 데 있다 新民에 있다 止於至善에 있다 |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
머무를 곳을 안 다음 뜻이 정립되고 뜻이 정립된 다음 고요할 수 있고 고요하게 된 다음 편안할 수 있고 편안한 다음 생각이 알찰 수 있고 생각이 알찬 다음얻을 수 있다 |
物에는 本과 末이 있고 일에는 시종이 있는 법이다 앞에 그리고 뒤에 할 바를 알면 태학의 길에 가깝다 하겠다 |
|
古之 欲治其國者先齊其家 欲齊其家者先修其身 欲修其身者先正其心 欲正其心者先誠其意 欲誠其意者先致其知 致知在格物 |
옛날 천하에서 明德을 밝히고자 하면 먼저 治國하고 治國하고자 하면 먼저 齊家하고 齊家하고자 하면 먼저 修身하고 修身하고자 하면 먼저 正心하고 正心하고자 하면 먼저 誠意하고 誠意하고자 하면 먼저 致知하였나니 致知는 格物에 있다 |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修 身修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 天下平 |
物格이후 知至하고 知至이후 意誠하고 意誠이후 心正하고 心正이후 身修하고 身修이후 家齊하고 家齊이후 國治하고 國治이후 天下平이니라 |
自天子 壹是皆 以修身 |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이 모두 修身으로 본을 삼아야 할 것이다 |
治者否矣 其所厚者 薄而 其所薄者 厚 |
本이 어지럽고 末이 잘될 리 없고 후하게 할 것을 박하게 하고 박하게 할 것을 후하게 하는 도리는 아직 없다 |
|
|
康誥曰 克明德 |
강고에는 德을 잘 밝히시고 |
太甲曰 |
태갑에는 하늘의 밝은 명령을 항상 살피시어 |
帝典曰 克明峻德 |
제전에는 큰덕을 잘 밝히사 라고 하였는데 |
皆自明也 |
이는 모두 스스로를 밝혔다는 말이다 |
|
|
日日 新 又日新 |
湯임금의 반명에는 진실로 오늘 하루를 새롭게 하였거든 날마다 새롭게 하고 또 새롭게 하자 |
康誥曰 作新民 |
康誥에는 새로워지고자 하는 인민을 고무하여라 |
詩曰 其命維新
|
詩에는 주나라가 비록 묵은 나라지만 천명을 새롭게 하였다 하였는데 |
이로 보아 군자는 반드시 지극한 경지를 쓴다 |
|
|
|
詩云
|
詩에 방기 천리는 인민들이 머무는 곳 이라 하였고 |
詩云 止于丘隅
|
詩에 꾀꼴꾀꼴 꾀꼬리 언덕 모퉁이에 머물고 라고 하는데 |
於止 知其所止 可以人而不如鳥乎
|
공자 이 詩를 평하사 아! 새는 잘도 머무는구나 머물 곳을 알아야 하고말고 사람으로서 새보다 못할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고 |
詩云 於
|
詩에 거룩한 문왕이시여 아! 전대의 광명을 이어 그윽이 머무시네 라고 하였으니, |
爲人子止於孝 爲人父止於慈 |
문왕께서는 임금으로서는 仁에 머무셨고 신하로서는 敬에 머무셨고 아들로서는 孝에 머무셨고 아버지로서는 慈에 머무셨고 국민과의 사귐에는 信에 머무셨다 |
詩云 有斐君子
|
詩에 저 淇水기수 굽이치는 곳 푸른 대 울창하구나 아름다운 군자는 곰곰하시고 꿋꿋하시며 찬연히 광채 나시니 아름다운 군자여 끝내 잊을 수가 없구나 라고 하였는데, |
如琢如磨者自修也 瑟兮人+閒兮者 恂慄也 赫兮喧兮者 威儀也 終不可諠兮者 民之不能忘也 |
여절여차는 學을 말하며, 여탁여마는 自修를뜻하며 곰곰하시고 꿋꿋하시다는 내면의 위엄을 뜻하고 찬연히 광채 나시니는 멋진 외모를 뜻하며 아름다운 군자를 끝내 잊을 수가 없구나 라고 읊은 것은 盛德의 至善함을 인민들이 못 잊겠다는 뜻이다 |
詩云 |
詩에 아! 전왕을 잊지 못하겠다 고 하였는데 |
군자는 그분의 義德을 기리고 소인은 그분의 恩德을 기린다는 것으로 이것이 영세불망의 까닭이다 |
|
子曰 必也 無情者 此謂知本 |
공자 말씀하셨다 재판은 나도 남만큼은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반드시 소송이 없도록 하는 것이이라 거짓이 있는 자가 자신의 말을 다 하지 못하는 것은 덕의 위엄을 경외할 줄 알기 때문인데 이것이 本을 안다는 뜻이다 |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 |
이것이 本을 아는 것이다 이것이 知가 이르렀다는 뜻이다 |
|
|
|
|
所謂 |
이른바 誠意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다 |
|
악취를 싫어하듯 호색을 좋아하듯 하면 된다 |
此之謂自謙 |
다른 말로는 바로 自謙이다 |
이를 위하여 군자는 愼獨한다 |
|
小人閒居 爲不善無所不至 見君子而后 而著其善 |
소인은 홀로 있을 때 어떤 불선도 행한다 그러다가 군자를 대하게 되면 허겁지겁 불선을 감추고 善함을 드러낸다 남이 자기 보는 것을 자기 속 들여다보는 것처럼 여긴다면 어찌 이로움이 있겠는가 |
此謂 故君子必愼其獨也 |
이것이 바로 안에 차면 겉으로 드러난다는말이다 이런 까닭에 군자는 반드시 愼獨한다 |
曾子曰 其嚴乎 |
증자 말씀하시기를 열 눈이 보고 열 손이 가리킨다면 어찌 두렵지 않겠느냐 |
故君子必誠其意 |
재물은 집을, 덕행은 몸을 빛나게 한다 마음이 넓으면 몸이 태평하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誠意한다 |
|
|
所謂 修身在正其心者 |
이른바 修身이 正心에 있다함은 이러하다 |
身 不得其正 不得其正 有所好樂則 不得其正 不得其正 |
마음에 화나는 바가 있으면 情이 바름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情이 바름을 얻지 못하고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情이 바름을 얻지 못하고 걱정하는 바가 있으면 情이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
心不在焉 |
마음이 거기 있지 아니하면 |
視而不見 聽而不聞 |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으며 먹어도 맛을 모른다 |
7-3절 |
|
此謂 修身在正其心 |
이것이 修身이 正心에 있다는 뜻이다 |
|
|
所謂 齊其家在修其身者 |
이른바 齊家가 修身에 있다고 함은 이러하다 |
人 之其所賤惡而벽焉 之其所畏敬而벽焉
|
사람은 사랑하는 이에게는 愛情에 치우치고 혐오하는 이에게는 혐오심에 치우치고 경외하는 이에게는 경외심에 치우치고 불쌍히여기는 이에게는 동정심에 치우치고 건방지게보는 이에게는 忌避심에 치우친다 |
故 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
이 때문에 좋아하면서도 그의 나쁜 점을 알며 미워하면서도 그의 좋은 점을 아는 이가 천하에 적다 |
故諺有之曰 |
그러므로 속담에 사람은 제 자식의 나쁜 점을 알지 못하며 제 논의 모가 큰 줄을 모른다고 하였다 |
8-3절 |
|
此謂 身不修不可以齊其家 |
이것이 身不修면 齊家할 수 없다는 뜻이다 |
|
|
所謂 治國必先齊其家者
|
이른바 治國엔 반드시 齊家를 앞세운다함은 이러하다 |
其家不可敎而 能敎人者無之 故 君子不出家而 成敎於國 |
제 집을 가르칠 수 없으면서 남을 가르치는 법은 없다 그러므로 君子는 家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國에 가르침을 는 것이니 |
孝는 임금을 섬기는 데 쓰면 되고 弟는 윗사람을 섬기는 데 쓰면 되고 慈는 인민을 다스리는 데 쓰면 되기 때문이다 |
|
康誥曰
|
「강고」에 갓난아이를 보살피듯 하면...... 이라고 하였으니 |
雖不中 不遠矣 未有 |
마음을 알차게 하여 구한다면 비록 적중은 하지 않더라도 크게 빗나가지는 않는 법이다 아직 없지 않느냐 육아법을 배우고 시집가는 예가 |
一家讓一國興讓 其機如此 |
一家가 어질면 一國이 仁心을 일으키고 一家가 겸양하면 一國이 謙讓을 일으키고 一人이 탐욕스러우면 一國이 혼란한 등 一家 一人의 영향이 이와 같다 |
此謂 一言분事 一人定國 |
이것이 한 마디 말이 일을 어그러뜨리고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케 한다는 뜻이다 |
民從之 民從之 其所令反其所好而 民不從 |
요순 두 성군이 仁으로 천하를 이끄시되 인민들은 仁을 따랐다 걸주 두 폭군이 포악으로 천하를 이끄니 인민들은 포악을 따랐다 仁의 號令이라도 그것이 호령자의 德이 아니면 인민들은 따르지 않는 법이다 |
是故君子 無諸己而後非諸人 能喩諸人者未之有也 |
그러므로 군자는 자신에게 善이 있고서야 責善하고 자신에게 惡이 없고서야 꾸짖는 것이니 몸에 지닌 德이忠恕가 아니면서 忠恕를 깨우치게 할 법은 아직 없다 |
9-5절 |
|
故 治國在齊其家 |
그러므로 治國은 齊家에 있다 |
詩云
|
『詩』에 아름다운 복상나무 잎이 무성하구나 시집가는 그녀 가인에게 잘 하겠구나 라고 하였으니 |
宜其家人而后 可以敎國人 |
가인들을 화목하게 한 다음에야 국민을 가르칠 수 있다 |
詩云 宜兄宜弟
|
『詩』에 형제 우애 좋구나 라고 하였으니 |
宜兄宜弟而后 可以敎國人 |
형제 우애 좋은 다음에 국민을 가르칠 수 있다 |
詩云 正是四國 |
『詩』에 그 용모 바르사 사방 나라를 바로 하도다하였다 |
其爲父子兄弟 |
부자 형제 본받을 만한 다음에 국민들이 본을 받는다 |
此謂 治國在齊其家 |
이것이 治國은 齊家에 있다는 뜻이다 |
|
|
所謂 平天下在治其國者
|
이른바 平天下가 治國에 있다는 것은 이러하다 |
民興孝 |
임금이 부모에게 효도하면 인민들은 효심을 일으키고 |
上長長而 民興弟 |
임금이 어른들을 공경하면 인민들은 弟심을 일으키고 |
民不倍 |
임금이 고독한 종족을 잘 돌보면 인민들은 임금을 등지지 않는다 |
是以君子 有혈矩之道也 |
이 때문에 군자는 혈矩(혈구)의 道를 지닌다 |
所惡於上 毋以使下 所惡於下 毋以事上 所惡於前 毋以先後 所惡於後 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
내가 싫어하는 윗사람의 태도로 아랫사람을 다루지 말며, 내가 싫어하는 아랫사람의 태도로 윗사람을 섬기지 말며, 내가 싫어하는 앞사람의 태도로 뒷사람을 이끌지 말며, 내가 싫어하는 뒷사람의 태도로 앞사람을 따르지 말며, 내가 싫어하는 오른쪽 사람의 태도로 왼쪽 사람과 사귀지 말며, 내가 싫어하는 왼쪽 사람의 태도로 오른쪽 사람과 사귀지 말 것이니, |
此之謂 혈矩之道 |
이렇게 하는 것이 혈矩(혈구)의 道이다. |
詩云 |
『詩』에 |
樂只君子 民之父母
|
즐기소서 군자여 인민의 부모시여 라고 하였는데 |
民之所好好之 民之所惡惡之 此之謂民之父母 |
인민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고 인민이 싫어하는 것을 싫어하니 이것이인민의 부모인 것이다 |
詩云 |
『詩』에 |
|
깎아지른 듯한 저 남산 우뚝 솟은 바위 빛나는 太師 윤씨여 인민들이 모두 당신을 바라본다 하였다 |
有國者不可以不愼 벽則爲天下륙矣 |
나라를 소유한 사람 삼가지 않을 수 없으니 치우치면 천하인민에게 육시를 당한다 |
詩云 |
『詩』에 |
|
민심 얻은 은나라 상제의 뜻에 합치하더니 은나라를 보라 峻命 지키기가 쉽지 않구나 라고 하니 |
道 失衆卽失國 |
이런 뜻이다 민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고 민중을 잃으면 나라를 잃는다 |
是故 君子先愼乎德 有德此有人 有人此有土 有土此有財 有財此有用 |
이 때문에 군자는 德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德이 있으면 사람이 생기고 사람이 있으면 땅이 생기고 땅이 있으면 재물이 생기고 재물이 있으면 소비가 생기는 것이다 |
10-7절 |
|
德者本也 財者末也 |
德은 本이며 財物은 말이다 |
外本內末 |
本을 도외시하고 末을 중히 여기면 인민을 다투게 하며 서로 재물을 빼앗게 한다 |
是故 財散則民聚 |
이 때문에 재물이 한 곳으로 모이면 민심은 흩어지고 재물이 잘 분배되면 민심은 모인다 |
是故 貨悖而入者亦悖而出 |
이 때문에 부정하게 나간 말은 부정하게 들어오고 부정하게 얻은 재물은 허망하게 나간다 |
康誥曰 |
康誥에 |
|
천명이 항상 우리 편에 있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한 것은 |
道 善則得之 不善則失之矣 |
이런 뜻이다 善하면 천명을 얻고 不善하면 천명을 잃는다 |
楚書曰 |
楚書에 |
惟善以爲寶 |
초나라는 무엇으로 보배를 삼을까 善人을 보배로 삼는다고 하였다 |
舅犯曰 |
구범이 말하였다 |
亡人無以爲寶 |
망명가는 무엇으로 보배를 삼을까 부모사랑을 보배로 삼는다 |
秦誓曰 |
秦誓에 |
其心休休焉 其如有容焉 人之有技 若己有之 人之彦聖 其心好之 寔能容之 |
어떤 무던한 신하가 별 재주는 없지만 마음은 어찌나 아름다운지 포용력을 가늠할 수가 없다 남의 재능을 마치 자기 재능처럼 여기고 남의 미모와 총명을 마음으로 좋아함이 입으로 칭찬하는 것 이상이라면 이런 사람은 실로 용량 있는 사람이다 나의 자손 인민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니 이로운 사람임이 틀림 없겠다 |
人之有技모疾以惡之 人之彦聖而 寔不能容 以不能保我子孫黎民 亦曰殆哉
|
남의 재주를 모질게 싫어하며 남의 미모와 총명이 세상에 통하지 못하게 하는 자가 있다면 이런 사람은 실로 용량 없는 사람이다 나의 자손 인민을 지키지 못할 것이니 위태로운 사람이겠다 라고 하였는데 |
唯仁人 |
오직 仁人이라야 그런 위태로운 사람을 내쫓되 오랑캐의 나라로 추방하여 國중에 함께 하지 못하게 한다 |
此謂 能愛人 能惡人 |
이것이 오직 仁人이라야 남을 제대로 사랑하고 미워할 수 있다고 하는 뜻이다 |
見賢而不能擧 擧而不能先命也 見不善而不能退 退而不能遠過也
|
훌륭한 이를 등용하지 않고 등용은 해도 일차로 하지 않는 것은 命이며 不善한 이를 물리치지 않고 물리치기는 해도 멀리 물리치지 못하는것은 過이다 |
好人之所惡 惡人之所好 |
남들이 싫어하는 것은 좋아하고 남들이 좋아하는 것을 싫어하면 |
是謂 拂人之性 |
이는 사람의 性을 거스른다고 하는 것이니 반드시 재앙이 미칠 것이다 |
是故君子有大道 |
이 때문에 군자는 大道를 지니는데 |
必 忠信以得之 驕泰以失之 |
반드시 忠信으로 얻고 교태로 잃는다 |
生財有大道 |
생산에 大道가 있다 |
生之者衆 食之者寡 用之者舒 |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은 많고 공밥 먹는 사람은 적게 하며 생산은 빠르게 하고 소비는 느리게 하면 |
재화는 항상 넉넉할 것이다 |
|
仁者以財發身 不仁者以身發財 |
仁者는 재물을 통하여 자신을 일으키며 不仁者는 자신을 망쳐서 재물을 모은다 |
未有 上好仁而 下不好義者也 |
아직 없구나 윗사람이 仁을 좋아하는데 아랫사람이 義를 좋아하지 않는 법이 |
未有 好義其事不終者也 |
아직 없구나 義를 좋아하면서有終의 미가 없는 법이 |
未有
|
아직 없구나 그렇게 하여 모은 재산이 자신의 재산이 아닌 법이 |
孟獻子曰 不畜聚斂之臣 與其有聚斂之臣 寧有盜臣 |
맹헌자가 말하기를 마승의 신분은 닭 돼지에 눈을 두지 않고 벌빙지가는 소나 양 칠 생각을 하지 않고 백승지가는 취렴하는 신하를 두어서는 안 되는 것이니 취렴하는 신하 두기보다는 차라리 내 재물 훔치는 신하 두는 게 낫다 |
此謂 國 不以利爲利 以義爲利也 |
이것이 나라의 차원이면 물질적 利로 利를 삼지 않고 義로써 利를 삼는다고 하는 뜻이다 |
23 |
|
長國家而 務財用者 必自小人矣 彼爲善之 小人之使爲國家 雖有善者 亦無如之何矣 |
國家의 長으로서 재물 모으는 데 힘쓰는 것은 반드시 소인 때문이다 (彼爲善之) 소인이 국가를 다스리게 되면 재해가 함께 이른다 비록 선한 사람이 있더라도 역시 어찌할 수가 없는 것이다 |
此謂 國 不以利爲利 以義爲利也 |
이것이 나라의 차원이라면 물질적 利로 利를 삼지 않고 義로써 利를 삼는다고 하는 뜻이다 |